Back To Top

news
home NEWS ART
ART
논란 먹고 자란다…뱅크시 없는 뱅크시, 뱅크시도 모르는 뱅크시전?
2022.01.11
edit article
헤럴드디자인

‘얼굴 없는 화가’ 뱅크시 전시 논란

뱅크시 없고, 뱅크시도 모르는 전시

상업성, 오리지널리티 도마 위

논란 불구 관람객은 주말 최고 1000명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지난달 국내 미술투자 플랫폼 테사에 올라온 뱅크시의 초기작 ‘러브 랫’이 오픈 1분 만에 완판됐다. 테사 오픈 이래 최단 시간이다. ‘러브 랫’은 영국 리버풀에서 발견된 벽화를 기반으로 한 뱅크시의 시그니처 작품이다. 150개의 서명 에디션과 600개의 미서명 에디션으로 제작됐다. 테사는 미서명 에디션 중 203번째 프린트 작품을 선보였다. 작품에 발행인의 스탬프와 에디션 넘버가 날인돼 있다.

 

이른바 ‘얼굴 없는 화가’로 전 세계를 사로잡은 뱅크시는 국내 전시업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름이다.

 

2016년 이스탄불에서 처음 시작, 전 세계 11개 도시에서 투어를 진행한 후 한국에 상륙한 ‘아트 오브 뱅크시:위드아웃 리미츠(The Art Of Banksy : Without Limits)’(2월 6일까지·더서울라이티움) 전시는 여러모로 화제다. 뱅크시의 세계관과 메시지를 담아 구성한 이 전시는 뱅크시의 원작 27점을 포함한 레플리카(재현작), 설치 미술 등 다양한 작품이 총 150여점 전시됐다. 테사에서 판매한 ‘러브 랫’과 같은 프린트 작품을 이 전시에서도 볼 수 있다.

 

개막 이후 전시는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소위 ‘뱅크시 없는 뱅크시 전시’, ‘뱅크시도 모르는 가짜 전시’라는 혹독한 꼬리표가 따라왔다. 일련의 논란으로 입방아에 올랐으나 전시엔 타격이 없다. 주말마다 40~50분을 대기해야 할 만큼 많은 관람객이 찾고 있으며, 추석이나 설 등 명절이 끼어있을 땐 성수동 일대가 북적인다. 주말에는 평균 500~600명, 최고 관람객은 1000명에 달한다는 것이 주최 측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