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Top
MENU
×
herald design forum
NEWS
VIDEO
EVENT
SIGN UP
LOGIN
MY PAGE
RETURN
ENGLISH
디자인플러스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그랜저”…전기차와 공존을 꿈꾸다
DETAIL VIEW
디자인플러스
급격한 도시발전 상처에 붙인 반창고 ‘얇디얇은집’
DETAIL VIEW
HISTORY OF HERALD DESIGN FORUM
VIEW MORE
NEWS
VIEW MORE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상에 아모레 본사 설계자 英 치퍼필드
간결한 디자인과 노출 콘크리트 마감으로 유명한 영국 건축가 데이비드 치퍼필드(69)가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받았다. 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프리츠커상 심사위원단은 “치퍼필드는 건축가를 예술가로서 돋보이게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대신, 건축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을 찾는 데 천착했다”면서 치퍼필드를 올해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치퍼필드는 실제 “건축가보다 건축물이 더 중요하다”는 소신을 보여왔다. 건물 외벽에 첨단 소재를 사용하거나,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보는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대신 주어진 환경과 어울리는 품격 있고 절제된 건축물을 선보여왔다. 그는 각국으로부터 역사적인 공공 건축물의 리모델링 등 대규모 작업 의뢰를 받았다. 16세기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산마르코광장에 세워진 ‘프로쿠라티에 베키에’의 복원·리모델링 작업도 그의 손을 거쳤다. 그는 지붕 및 다락 공간을 대형 작업공간과 전시공간으로 바꾼 뒤 옥상에 루프탑을 설치하고 500년 가까이 된 건물을 현대적으로 탈바꿈했지만, 내부 벽돌을 그대로 남겨둬 전통과의 조화를 추구했다. 1904년에 건립된 미국 세인트루이스 미술관에 새 전시관을 설치하는 작업과 독일 베를린 신 박물관의 리모델링 등도 맡았다. 지난달에는 그리스 아테네의 국립고고학박물관의 리노베이션 책임자로 선정됐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의 본사 건물도 치퍼필드의 작품이다. 건물 내 3개의 정원인 ‘루프가든’을 배치해 자연과 호흡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한 이 건물은 지난 2019년 세계초고층도시건축학회(CTBUH)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고층건물’에서 2개 부문 대상과 1개 부문 우수상을 받았다. 치퍼필드는 1953년 영국 남부 데본에서 태어났다. 런던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파리 퐁피두센터를 설계한 리처드 로저스 밑에서 일했다. 1985년 자신의 회사를 설립한 그는 일본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의 쇼룸 설계와 지바현의 미술관 등의 의뢰 때문에 수년간 일본에서 활동했다. 한지숙 기자 / jshan@heraldcorp.com 원문읽기 >> 클릭
+
런던처럼...하늘공원에 세계최대 규모 대관람차 ‘서울링’ 돈다
오는 2027년 마포구 상암동 소재 하늘공원에 세계 최대규모의 대관람차 ‘서울링’이 생긴다. 서울시는 고리형태의 ‘서울링 제로’를 완성해 연간 350만명 이상의 관광수요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이날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링 제로 추진’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시는 ▷접근성 ▷주변 관광인프라 ▷조망 ▷랜드마크 ▷균형발전 측면 등을 고려한 결과 주변 인프라와 조망·상징성이 가장 우수한 하늘공원을 최종 선정했다고 전했다. 하늘공원은 서울의 관문이자 남북통일시대 새로운 관문으로서의 상징성과,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운 남과 북의 결절점으로서 민족의 화합과 통일의 염원을 담겠다는 취지에서 의미 있는 공간이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상암동 하늘공원을 포함, 노들섬, 여의도공원, 수도자재센터, 잠실 등 다양한 후보지를 검토해왔다. 시는 하늘공원에 조성될 대관람차가 기존 전통적 방식의 살(Spoke)이 있는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규모 180m 내외의 살 없는(Spokeless) 고리형태의 혁신적인 기술과 개방된 디자인을 통해 미학적으로 우수한 세계적인 대관람차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대관람차 설계업체, 대형 건설사의 자문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도 확보했다. 추후 민간에서 더 진보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안받아 보완·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서울링 조성 사업은 2025년 6월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된다. 사업비는 4000억원 규모다. 서울링의 규모 180m는 ‘아인 두바이’(폭 257m)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이나, 살이 없는(Spokeless) 고리형 디자인 기준으로는 세계 1위다. 탑승 인원은 시간당 1474명, 1일 최대 1만1792명이 가능하며 연간으로는 약 350만명 이상의 관광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관람차 하부 공간에는 1978년부터 서울 전역에서 반입된 쓰레기 매립지라는 난지도의 역사와 의미를 알 수 있도록 매립지 퇴적층을 확인할 수 있는 체험 전시관(엘리베이터 형태)을 조성하고, 인근 월드컵공원과 연계되는 지하연결통로를 만들어 접근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난지도 지하의 매립 쓰레기를 활용해 서울의 과거를 되새기고, 지상대관람차를 통해 서울의 미래를 드러낼 예정”이라며 “마포자원회수시설과 연계된 세계적이고 의미있는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김용재 기자 / brunch@heraldcorp.com 원문읽기 >> 클릭
+
‘한강 석양’ 감상하는 전망대 15곳 생긴다
서울 한강 수변에 석양을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가 15곳 생길 전망이다. 전망대는 ‘스카이 트레일’을 걸으며 공중에서 한강과 서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시설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0일 서울시의회 개회식에서 “한강을 서울의 대표 관광명소이자 브랜드로 만들기 위해 잔디마당, 전망데크 등을 설치해서 자연·문화·힐링이 어우러지는 명소를 조성하고 아름다운 낙조를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도 15개소 만들겠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 발표를 통해 서울 노들섬에 전망대와 수상예술무대, 보행교를 설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서 오 시장은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던 한강의 낙조를 비롯해 노들섬과 한강의 숨은 매력을 찾아 시민과 관광객에게 감동을 줄 명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시는 현재 국내외 유명 건축가들을 대상으로 노들섬 디자인 공모를 진행 중이다. 공모에는 ‘메트로폴 파라솔’을 설계한 독일의 위르겐 마이어, 미국 뉴욕의 전망대 ‘베슬’과 실리콘밸리의 구글 신사옥 ‘베이뷰 캠퍼스’ 등을 설계한 토머스 헤더윅(영국) 등이 참여했다. 오는 3월까지 이어지는 공모를 통해 콘텐츠와 규모 및 공사비를 포함한 디자인 구상안을 제안받고, 이후 디자인 구상안이 결정되면 사업추진 기본계획과 예산확보 등 사전절차를 완료해 최종 설계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제안된 디자인안을 작품전시와 포럼, 공청회 등을 통해 공개한다. 계획수립 전 시민들과 사업 취지 및 방향을 공유, 소통·참여를 통해 시민이 원하는 최적의 계획안을 수립하겠다는 설명이다. 오 시장은 과거 노들섬에 오페라하우스를 지을 계획이었으나 2011년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한 이후 백지화됐다. 현재 노들섬에는 공연장과 카페 등이 있다. 김용재 기자 / brunch@heraldcorp.com
+
‘패션계 악동’ 마르지엘라, 작품을 감추니 작품이 보인다
솔기를 노출하고, 단 처리를 끝마치지 않았다. 메종 마르지엘라의 옷은 이른바 ‘해체주의’라 불린다. 옷의 기능 중 핵심만 남기고 나머지는 디자인적 실험을 계속하는, 새로운 착장 방식을 고민케 하는 옷이 바로 메종 마르지엘라다. 메종 마르지엘라의 창업자, 마틴 마르지엘라(65)의 예술적 자아를 만날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서울 송파구 롯데뮤지엄은 국내 최초로 ‘마틴 마르지엘라’전을 지난 24일부터 개최했다. 설치, 조각, 영상, 퍼포먼스, 페인팅 등 50여 점을 통해 작가는 패션 시스템과 인체의 한계, 미술관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마르지엘라는 벨기에 출생으로,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활동하다 프랑스로 이주했고 1988년 메종 마르지엘라를 설립했다. 1997∼2003년에는 에르메스의 여성복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역임했다. 2008년 메종 마르지엘라 20주년 기념쇼를 끝으로 패션계에서 은퇴했다. 은둔자를 자처하는 그는 자신의 얼굴이 드러나는 것을 꺼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역으로 활동할 때는 물론 은퇴 이후에도 제대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번 전시에도 작품만 왔을 뿐, 작가는 방한하지 않았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자판기를 마주하게 된다. 버튼을 누르면 종이 상자가 나온다. 상자 안에는 전시장 지도가 그려져 있다. 미로처럼 구성된 전시장에서 자칫 길을 잃을 수도 있는 관객을 위한 가이드인 셈이다. 자신에 대해 절대 드러내지 않는 것처럼, 전시도 베일에 쌓여있다. 작품이 놓인 곳마다 블라인드로 가려 공간을 만들었다. 작품 하나에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구도다. 작품들은 개념 미술에 가깝다. 원래 작품이 놓여있어야 할 곳에 회색의 음영만 남았다. 흔적을 보면서 원작을 짐작케 한다. 두상 전체를 모발로 덮은 ‘바니타스’는 머리카락 색상만으로 유년에서 노년까지를 나타낸다. 인체 일부를 3차원(D) 스캔해 실리콘 조각으로 제작한 ‘토르소시리즈’는 고대 조각상 개념에서 탈피하는 한편, 젠더의 의미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진다. 또한 작품이 놓인 좌대와 작품을 같은 재질로 만들어 ‘미술품’을 전시하는 ‘미술관’의 역할에 대해서도 도발한다. 패션에서 ‘전복’을 자신의 언어로 사용했던 것처럼 마르지엘라는 예술에서도 같은 문법을 구사한다. 작품은 걸렸다 사라지고, 보였다 은폐된다. 예술 작품을 더욱 숭고하게 보이도록 하는 미술관의 장치에 질문을 던지고 뒤집는다. 오랜 시간 동안 작품을 잘 보존하고 최상의 상태로 보여주는 대신, 작가는 작품을 펼쳤다 접었다 하면서 일부러 흐려지고 뭉개지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퍼포먼스를 하는 미술관 스태프들은 메종 마르지엘라 직원들이 입었던 것처럼 흰색 가운을 입었다. 가장 싸지만 가장 파워풀한 유니폼이다. 앞서 마르지엘라는 2021년 프랑스 파리 라파예트 안티시페이션(Lafayette Anticipation)에서 첫 전시를 열었고, 올해 베이징 엠 우즈(M Woods)에서 같은 전시를 선보였다. 서울 전시는 베이징에 이은 세 번째 전시다. 내년 3월 26일까지. vicky@heraldcorp.com 원문보기 >> 클릭
+
FORUM
VIEW MORE
+
ROUND TABLE 2 : Accessibility
+
ROUND TABLE 1 : UX
+
다양성과 보편성을 위한 모빌리티
+
엔터테인먼트와 건축
REGULAR
VIEW MORE